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全國漢字能力檢定試驗)은 한국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의 깊고 바른 이해와, 전통 문화의 계승, 한중일 한자문화권에서의 바른 정체성 확립을 목표로, 한자에 대한 관심을 확산·심화시키기 위해 한국어문회가 주관하고 한국한자능력검정회가 시행하는 종합적인 한자 능력 측정 시험이다.
자격증 소개
(1) 자격분류 : 국가공인 민간자격
(2) 시행기관 : 한국어문회
(3) 응시자격 : 제한 없음
(4) 홈페이지 : hanja.re.kr
(1)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①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이란 한국어문회에서 시행하는 한자능력 검정시험으로, 일명 ‘어문회 한자’라고도 한다.
②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은 부분국가공인 자격시험이다. 특급 · 특급II와 1급 · 2급 · 3급 · 3급II는 국가공인자격이나 4급 · 4급II · 5급 · 5급II · 6급 · 6급II · 7급 · 7급II · 8급은 민간자격이다.
(2) 급수배정
급수 | 읽기 | 쓰기 | 수준 및 특성 |
---|---|---|---|
특급 | 5,978 | 3,500 | 국한혼용 고전을 불편 없이 읽고, 연구할 수 있는 수준 고급 |
특급II | 4,918 | 2,355 | 국한혼용 고전을 불편 없이 읽고, 연구할 수 있는 수준 중급 |
1급 | 3,500 | 2,005 | 국한혼용 고전을 불편 없이 읽고, 연구할 수 있는 수준 초급 |
2급 | 2,355 | 1,817 | 상용한자를 활용하는 것은 물론 인명지명용 기초한자 활용 단계 |
3급 | 1,817 | 1,000 | 고급 상용한자 활용의 중급 단계 |
3급II | 1,500 | 750 | 고급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상용한자 1,500자, 쓰기 750자) |
4급 | 1,000 | 500 | 중급 상용한자 활용의 고급 단계(상용한자 1,000자, 쓰기 500자) |
4급II | 750 | 400 | 중급 상용한자 활용의 중급 단계(상용한자 750자, 쓰기 400자) |
5급 | 500 | 300 | 중급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상용한자 500자, 쓰기 300자) |
5급II | 400 | 225 | 중급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상용한자 400자, 쓰기 225자) |
6급 | 300 | 150 | 기초 상용한자 활용의 고급 단계(상용한자 300자, 쓰기 150자) |
6급II | 225 | 50 | 기초 상용한자 활용의 중급 단계(상용한자 225자, 쓰기 50자) |
7급 | 150 | - | 기초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상용한자 150자) |
7급II | 100 | - | 기초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상용한자 100자) |
8급 | 50 | - | 한자 학습 동기 부여를 위한 급수(상용한자 50자) |
(3) 자격 특징
① 한자와 관련되어 국가자격시험은 아직 없으며, 국가공인 민간자격은 9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등록된 민간자격은 68종에 이른다.
②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어문회 한자)은 1992년부터 시행된 국내 최초의 한자검정시험으로, 한자 자격시험 중 가장 오래된 시험이다. 또한 국가공인도 가장 먼저 받았다.
③ 한자 자격시험의 경우 시험 주관처마다 출제 유형이 다르고 한자의 훈음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한자시험 교재를 선택의 경우 시험 주관처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시험일정
|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연령, 학력, 성별 등의 제한이 없다.
(2) 급수별 출제기준